ERO 콘덴서 (ERO, Germany)
자작인 이라면 바이타민큐와 함께 한번 쯤 사용했던 필름 콘덴서 입니다.
속칭 에로 콘덴서라고 불리우며, 하이엔드 필름콘덴서로 위마(Wima) 콘덴서와 함께 유명한 제품 입니다.
이 콘덴서의 음질경향은 부드럽고 온화하고 따스한 음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ERO 구형 메탈라이즈드 폴리프로필렌 필름 커패시터로
차겁지 않고 약간의 온기가 있는 편안한 소리입니다.
가격대비 코스트 퍼포먼스는 최고라 생각합니다.
ERO MKP 0.22uF/630V 2개 1조 2만원. 착불
010-5382-6464
오렌지 드롭 콘덴서(Orange Drop by Sprague)
오렌지 드롭은 60년대 다이나코 ST-70에 사용된 커플링 콘덴서로서, 그당시도 고가의 제품은 아니었으나, 부드럽고 온화한 음색으로 많이 사용 되었습니다. 요즘 디지털 사운드에는 진부한 느낌이 들수 있으나, 저가격의 원만한 음질을 가지고 있어 지금도 선호하는 매니아가 다수 있습니다
콘덴서의 종류와 특징 (Capacitors for Audio Amps)
콘덴서(Capacitor)는 유전체를 전극 사이에 넣고 롤로 감은 것으로,
유전체의 재질과 절연물질에 따라, 필름 콘덴서, 전해 콘덴서, 오일 콘덴서,
탄탈 콘덴서 등으로 나누어 진다.
일반적으로 필름 콘덴서는 저주파, 고주파 특성이 뛰어나나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싼 편 입니다. 전해 콘덴서는 고용량을 저가로 만들수 있어,
전원부 평활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그리고 마이카와 세라믹, 폴리스치롤은 특히 고주파 특성이 좋아
고주파 필터에 많이 사용 됩니다. 콘덴서를 축전기라고도 하는데,
전기를 유전체 사이의 전극에 충전하거나 방전하는 기능을 합니다.
콘덴서는 직류 보다는 교류를 잘 통과시키고, 충전시킨 전기를 항상
일정한게 방전하는 특성이 있어, 직류를 차단하고 시그널인 교류를
통과 시키는 커플링 콘덴서, 맥류를 완전한 직류로 만들어 주는
평활 콘덴서에 많이 사용 됩니다.
필름 콘덴서 (Film Capacitors)
필름 유전체를 전극 사이에 넣고 롤로 감은 것으로서, 전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양호하며, 오디오 회로의 주요 부위인 커플링 콘덴서(Coupling),
필터(Filter) 등 중요 부위에 널리 사용 됩니다.
최근에는 솔렌(Solen FastCap) 같은 대용량 필름 콘덴서가 소형 저가격으로
생산 됨에 따라 전원부 바이패스(Bypass)용으로 많이 사용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필름 콘덴서는 용량에 비해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싸며,
큰 용량을 제조 하기가 어렵습니다.
특히 필름 콘덴서는 유전체 재질 및 제조공정에 따라 음질 및 가격차가 큽니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제품이 신호부의 커플링 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마일러 계열의 적층 콘덴서는 저급의 제품으로 저가 앰프의 신호부나
전원부의 바이패스용으로 사용 되기도 합니다. 필름 콘덴서 중 폴리프로필렌,
폴리스치롤 계열의 콘덴서는 커플링 콘덴서로 적합 할 뿐만 아니라 재질 및
제조공법에 따라 다양한 음질 및 음색을 가지므로,
취양에 많은 제품을 선택하는 지혜가 필요 합니다.
폴리프로필렌 호일 콘덴서 (Polypropylene Cap)
필름 콘덴서의 일종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 호일을 전극 사이에 넣어
롤로 감은 것으로서, 광대역 주파수 특성이 좋아 커플링 콘덴서나
필터로 많이 사용 되지만 대용량, 고전압의 제품를 제조하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재질이 동일 하더라도
제조공법에 따라 음질차가 큽니다. 대표적인 콘덴서로는
뮤지캡(Hovland MusiCap), PPFX 가 있습니다.
Hovland Musicap Multicap PPFX
메탈 폴리프로필렌 콘덴서 (Metal Polypropylene Cap)
필름 콘덴서의 일종으로, 폴리 프로필렌 필름에 금속을 증착시킨 콘덴서로서,
광대역 주파수 특성을 가지며, 소형화가 가능하며 자기 회복 능력이 뛰어 납니다.
품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폴리프로필렌 호일에 비해 소형으로
만들 수 있어, 오디오 커플링이나 필터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 됩니다.
대부분의 커플링 콘덴서가 여기에 해당되며, 제조공법에 따라 음질차가 큽니다.
대표적인 콘덴서로는 킴버 콘덴서(Kimber Kap), PPMFX, 위마 MKP10,
엑시콘(Xicon), 솔렌(Solen FastCap) 등이 있습니다.
Kimber Kap Multicap PPMFX Wima MKP-10
Solen FastCap Orange Drop Xicon
폴리스치롤 콘덴서 (Polystyrole Cap)
필름 콘덴서의 일종으로, 폴리스치롤 호일을 전극 사이에 넣어 롤로 감은 것으로,
광대역 주파수 특성을 가지나, 특히 고주파 특성이 좋으며, 저주파 특성이
좋습니다. 이 콘덴서는 용량의 회로 변동률이 작으므로, 커플링 콘덴서와 포노부,
고주파 특성이 요구되는 세라믹이나 마이카 콘덴서의 업그레이드 용으로 많이
사용 됩니다. 대표적인 콘덴서로는 RTX, 폴리캡(ASC-PolyCap)이 있으며,
특히 폴리캡은 용량 변동률이 낮아, 포노 Eq 부에 많이 사용되며,
음질경향은 부드럽고 투명 합니다.
Multicap RTX ASC-PolyCap
마일러 콘덴서 (Mylar Cap)
필름 콘덴서중 가장 저급의 제품으로, 적층 필름 콘덴서 계열인 폴리에스텔
콘덴서 등을 통칭하며, 과거의 필름 콘덴서가 여기에 해당 됩니다.
메탈 필름 콘덴서보다 크기가 작고 가격이 싸므로,
저가 앰프의 커플링 콘덴서나 전원부 필터용으로 사용 되고 있습니다.
Nitsuko SBE
오일 콘덴서 (Paper Oil Cap)
오일 절연지를 알루미늄, 구리, 은과 같은 금속 전극판에 넣어 롤감이
한것으로 주로 저주파 회로에 사용되며, 주파수 대역이 좁아 빈티지 앰프에
주로 사용 됩니다. 최근 두툼한 중역과 고역의 부드러움으로 다시 주목 받고
있으며, 주파수 대역을 확장시킨 하이엔드급 제품인 젠센 오일콘덴서가
출시되고 있습니다. 또한 필름 콘덴서로서 오일적인 음색을 지닌
호브랜드 뮤지캡이 있어, 오일적인 분위기에 해상력 및 주파수 대역이 강조된 음을 원하는 분에게
권할 만 합니다. 오일 콘덴서의 음질 경향은 윤기있고 부드러우나 장기간
사용 할 경우 열화되어 절연지 사이의 오일이 건조되거나 누출되어
누설 전류가 증가 할수 있으므로, 이를 커플링으로 사용시 출력 진공관이
손상 되거나 험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으니 가능한 신품으로 교체 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표적인 콘덴서로 젠센 페이퍼 오일콘덴서(Jensen Paper-Oil
Cap by Silver, Copper, Aluminum) , 바이타민 큐(Vitamin Q),
웨스트 캡(West Cap) 등이 있습니다.
Jensen Vitamin Q West Cap
전해 콘덴서 (Electrolytic Cap)
종이 유전체를 전극 사이에 절연물질을 넣고 롤로 감은 것으로,
소형으로 대용량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나 용량의 편차가 크고 리플, 누설전류가 일반 필름 콘덴서나
탄탈 콘덴서 보다 많습니다. 따라서 전원부 평활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대표적 제품으로는 말로리(Mallory), 스프라그(Sprague), LCR이 있습니다.
참고로 최근에는 고용량의 필름 콘덴서가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됨에
따라 솔렌 패스트 캡과 같은 필름 콘덴서를 이용하여 전원부를 구성하거나
바이패스 시킴으로서, 전원 임피던스를 낮추고 응답속도를 높며 음의
순도와 밀도감을 높여 주기도 합니다.
Sprague Atom LCR Mallory Radial형 전해
탄탈 콘덴서 (Tantalum Cap)
전해 콘덴서에 비해 충 방전이 빠를 뿐만 아니라, 온도범위가 넓고 안정성과
수명이 뛰어 납니다. 따라서 100uf/30v 이하의 전해 콘덴서 업그레이드용으로
사용 하시면 좋습니다. 전해 콘덴서에 비해 내압이 낮고 용량이 적은 것이
단점 입니다. 주로 저주파, 시정수 회로에 사용 됩니다.
Axial Tantal (Sprague) Radial Tantal (Mallory)
마이카 콘덴서 (Maca Cap)
운모를 AL판에 넣고 수지 몰딩 한 것으로 내압, 내열 및 용량 변화가 적고 안정적 입니다.
특히 고주파 특성이 좋아 필터 회로에 많이 사용되며, 세라믹 콘덴서의
업그레이드용으로 좋습니다. 고 품질의 제품을 원할 경우, 폴리 캡이나
코넬 두빌리어 실버 마이카를 사용 하시면 좋습니다.
세라믹 콘덴서 (Ceramic Cap)
티탄산 바륨 원판을 은전극 사이에 넣은 것을 도료 피복 한 것으로, 고주파 특성이 좋으나 용량편차가 크고 음질이 떨어져 일반 오디오의 고주파 필터용으로 많이 사용 됩니다. 보다 고품질 제품으로 업그레이드를 원하면 폴리캡이나 코넬 두빌리어 실버마이카로 교체하기 바랍니다.
독일 FRAkO 1000UF 25V/10000UF 16V/ERO 470UF 40V/삼영100UF 500V
1. Made in germany의 FRAKO사 1000uf 25v 전해 콘덴서입니다.
내압이 25v로 웬만한 바이패스용으로는 사용 가능한 용량입니다
더구나 1000uf 짜리는 음질이 좋기로 유명합니다.
일본인 후지야마의 진공관 앰프 저서로 온라인에 자동번역되어 돌아 다니 교재에
"캐소드 콘덴서로 1000uf짜리를 사용하면 음질에 윤기가 나고 아주 좋아 진다"라는 귀절이 나옴니다.
진공관 앰프 교재에 나올 정도면 어느 정도 증명된 사실일 것입니다.
캐소드 바이 패스 콘덴사로 1000uf 를 사용한 사례입니다.
길이는 12mm x 33mm 입니다. 가격은 10000원/4개입니다,
2. Made in germany의 ERO사 470uf 40v 전해 콘덴서입니다
독일 ERO 제품입니다바이패스용으로 적당합니다.
전압이 좀 높은 드라이브단이나, 출력단에 사용이 가능합
.
가격은 10000원/5개.
3. Made in germany의 FRAKO사 10000uf 16v 전해 콘덴서입니다.
진공관 앰프의 HEATER에 전원을 DC로 만들 려면 5V/6.3V/12V.........
등 전압을 낮추어 파이형 필터를 구성하고 맥류를 평탄화 할때 사용합니다.
위 경우 용량이 6800UF-10000UF로 커야 정류가 완벽히 잘 됨니다.
RIPPLE를 완전히 제거해서 미세하게 평탄화가 더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출력도 더 나옴니다. 그러면 음질이 깨끗해 지겠죠.
그리고 7805/7806/7812등 정전압 다이오드를 붙여 주면 끝입니다. 위 경우 사용합니다
21MM X 41MM
가격은 12000원/3개
4.독일 FROLYT 100UF 80V
캐소드 바이 패스용으로 80V로 용량이 큰 것입니다. 드라이브단이나
파워단 캐소드 바이 패스용으로 적합합니다. 용량이 큰것이 흔하지 않습니다.
가격 10000원/5개.
https://cafe.naver.com/audio119
5. 삼영 100UF 500V진공관 앰프에서 파워단을 구성 할때 사용됨니다. AC를 DC로 만들때, 파이형 필터를 구성하여 맥류를 평탄한 직류로 만들려면 필수적입니다그런데, 내압 500V 짜리를 정상적으로 생산 하지 않기 때문에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특주만이 가능한 용량입니다. 일반적으로는 450V만 생산 합니다. 진공관 앰프를 제작 하다 보면, 내압이 500V 짜리 전해 콘덴서가 항상 필요하게 됨니다.
이것 4알만 가지면 정류회로는 모두 최고 수준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2개는 정류 회로에 사용 하고, 2개는 일종의 BLOCKING 콘덴서로서 전압 강하용으로 사용하는 파워저항과 같이 사용 하면 될 것입니다.
가격은 12000원/8개. 010-2767-5192
아래 audio119 카페에 많은 부품이 있습니다.
카페 회원이 기하 급수로 늘어 나고 있습니다. 카페 회원이 4100명이
넘는 오디오 케이블. 부품 전문 카페입니다. 가입하시면 편리합니다.
'♡。컴퓨터& 진공관 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K] JBL 4312A 분해 리뷰 : 스피커 운영/중고 구입 요령 (0) | 2021.04.05 |
---|---|
[4K] 진공관 앰프 출력 트렌스의 중요성 (0) | 2021.04.05 |
중국산 300B 진공관인티 어떤문제있을까 (0) | 2021.03.20 |
#2 6p1 자작 진공관 앰프 완전 개조 (0) | 2021.03.19 |
커플링 콘덴서 음질 특성 (0) | 2021.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