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섬유증(肺纖維症, pulmonary fibrosis)은 폐 조직이 굳어서 
심각한 호흡 장애를 불러일으키는 호흡기 질환이다.
 폐가 굳는다 함은 섬유질 결합조직의 과다누적을 의미하며 이 과정을 섬유화라고 한다. 
섬유화가 진행되면 폐벽이 두꺼워져 혈액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줄어든다. 
그 결과 환자는 지속적으로 끔찍한 숨가쁨을 느끼게 된다.[1]

섬유화의 명확한 이유를 진단할 수 있는 환자들도 있지만, 
그 원인을 밝혀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를 특발성 폐섬유증이라고 한다. 
폐섬유증으로 인해 섬유화가 진행된 폐조직을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2]

징후 및 증상
폐 섬유증의 증상은 주로 다음과 같다.[3]

호흡곤란(특히 운동을 할 때)
만성건조와 헛기침
피로
가슴의 통증을 수반한 답답함
식욕 상실 및 급격한 체중 감소
폐 섬유증은 과로와 함께 진행되는 호흡곤란 증상으로 진찰 될 수 있다. 
때때로 청진 시 폐 기저부에서 미세한 흡기의 딱딱한 소리가 들릴 수 있다. 
흉부 X-ray 상으로는 정상 또는 비정상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CT상에서는 비정상적인 폐의 모습을 볼 수 있다.[4]

원인
폐 섬유증은 다른 질병으로부터의 합병증일 수 있다.
이들 중 대부분은 간질성 폐질환으로 분류된다.
 예로서 자가면역증상, 바이러스 감염 및 결핵과 같은 박테리아 감염이 포함되며, 
이는 폐의 상엽 또는 하엽 모두에서 섬유성 변화 및 폐에 대한 미세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폐 섬유증은 밝혀지지 않은 원인에 의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를 "특발성"이라고 한다.

[5] 대부분의 특발성 사례는 특발성 폐섬유증으로 진단된다. 
이는 일반적인 간질성 폐렴으로 알려진 일련의 조직학적/병리학적 특징을 배제한다. 
두 경우 모두 환자의 하위 집합에서 유전적 소인을 가리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 단백질(SP-C)의 돌연변이는 폐 섬유증의 병력이 있는 
일부 가족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6] 텔로머레이즈를 코딩하는 TERC또는 TERT유전자의 상염색체 
우성 돌연변이가 폐 섬유증 환자의 약 15%에서 확인되었다.[7]


2차 합병증으로 폐 섬유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병 및 상태는 다음과 같다.[4][6]
직업이나 환경으로 인한 금속이나 특정 기체에 대한 노출에 의한 석면폐증, 
규폐증.[8] 특히 광부, 선박 노동자 등은 더 높은 위험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과민성 폐렴, 대부분의 세균, 곰팡이 또는 동물성 제품으로 오염된 먼지 흡입
흡연으로 인한 섬유증 유발 가능성 증가와 병세의 악화[5]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SLE 및 경피증과 같은 일부 전형적인 결합 조직 질환[5]
유육종증 및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육종과 같은 결합 조직과 관련된 기타 질병
COVID-19를 포함한 감염
특정 약물 ; 아미오다론, 블레오마이신, 부설판, 메토트렉세이트[5], 
아포모르핀 및 니트로푸란토인(13)[9]

가슴의 방사선 치료
병의 발생
폐 섬유증은 정상적인 폐 실질의 점진적인 섬유조직으로의 교체됨과 관련있다. 
폐 섬유증을 포함한 기관의 섬유증은 만성 염증보다는 비정상적인 상처 치유에 의한 
세포 외 기질(ECM)의 과도한 축적에서 기인하고, 장기 기능의 손상으로 이어지며 
결과적으로 높은 이환율 및 사망률을 나타낸다.[10
][11] 이때 TGF-β를 통한 신호전달 경로는 섬유성 병변의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TGF-β경로를 차단함은 인간 폐 섬유아세포에서 강력한 항섬유화 효과를 발휘한다.

[12] 정상적인 폐를 흉터 조직으로 대체하면 산소 확산 능력이 비가역적으로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경직되거나 감소된 순응도가 폐 섬유증을 제한성 폐질환으로 만든다.[13]

진단
폐 생검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4]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 충분한 조직을 얻기 위해서 전신마취를 동반한
 영상 보조 흉강경 생검을 요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생검은 흉벽을 통해 
여러 개의 튜브를 배치하는 것과 관련되며, 그 중 하나는 평가를 위해 보낼 
폐 조각을 잘라내는 데 사용된다. 
제거된 조직을 현미경을 통한 조직병리학적으로 검사 하여 
섬유증의 존재 및 패턴, 그리고 특정 원인을 나타낼 수 있는 특징을 확인한다.

전반적으로 폐 섬유증이 드물지는 않지만 

각 개별 유형의 섬유증은 흔하지 않으며 환자에 대한 평가는 복잡하고 다
분야의 접근이 필요하가 때문에 오진도 종종 일어난다.[14]

폐활량 측정에서 제한적 폐 질환으로서 FEV1(1초 간 강제 호기량)과 
FVC(강제 폐활량)가 모두 감소하므로 FEV1/FVC 비율은 정상이거나 
이 비율이 다음과 같은 폐쇄성 폐 질환과 대조적으로 증가한다.

치료
폐 섬유증은 흉터 조직을 만들고, 
흉터는 영구적이다. 
진행을 늦추고 예방하는 방법 또한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의 선택은 매우 제한적이다. 
연구가 진행 중 이지만 상태를 유의미하게 호전 시킬 수 있는 약물은 보고 되지 않았다. 
심각한 상태의 경우 폐 이식이 유일한 선택지이다. 
일부 유형의 폐 섬유증은 프레드니손(prednisone)과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면역 체계를 억제하는 기타 약물에 반응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유형의 약물은 
섬유증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늦추기 위해 처방 될 수도 있다.[15]

면역 체계는 여러 형태의 폐 섬유증 발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같은 면역 억제제를 사용한 치료의 목표는 폐 염증과 
그에 따른 흉터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치료에 대한 반응은 다양한데, 특발성 폐 섬유증은 뚜렷한 치료법이 아직 없기 때문에 
면역 억제 치료를 통해 상태가 호전 되는 환자의 경우 
특발성 폐 섬유증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경미한 특발성 섬유증에서 흉터 예방에 대한 약리학적 제제로서 피르페니돈(pirfenidone)이 있다. 
이는 걷기 테스트에서 효과를 보였지만 호흡기 증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두 번째로 닌테다닙 (nintedanib)은 다양한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수용체(tyrosine kinase receptor)의 
억제를 통한 효과를 유도하며, 임상 시험에서 
폐 기능 저하와 급성 악화를 감소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6]

항염증제는 섬유화 과정을 늦추는데 제한적인 효과를 보였다. 
비특이적 간질성 폐렴과 같은 일부 다른 유형의 섬유증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같은 
면역억제 요법에 반응할 수 있다. 

그러나 소수의 환자만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단독으로 반응하므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 페니실라민, 
사이클로스포린과 같은 추가 면역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콜히친 또한 제한적으로 성공으로 사용되었다.[


4] IFN-γ와 같은 새로운 약물에 대한 실험도 진행 중에 있다.
과민성 폐렴은 원인 물질과의 접촉을 피함으로써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후
폐 섬유증으로 인한 저산소증은 폐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차례로 우심실의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저산소증은 산소 보충으로 예방할 수 있다.[4]

또한 폐 섬유증은 폐색전증의 위험을 증가 시킬 수 있다.[4]

역학
전 세계적으로 500만 명 이상이 폐 섬유증을 앓고 있다. 아래의 비율은 100,000명 당 사람 수이다.

또한 폐 섬유증은 COVID-19에서 알려진 증상 중 하나이며 COVID-19로 
입원한 환자의 약 1/3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020년 7월 기준)[17]




발병률 유병률 인구 적용 년도 참조
6.8-16.3 14.0-42.7 U.S. health care claims processing system 1996-2000 Raghu et al.[18]
8.8-17.4 27.9-63.0 Olmsted County, MN 1997-2005 Fernandez Perez et al.[19]
27.5 30.3 Males in Bernalillo County, NM 1988-1990 Coultas et al.[20]
11.5 14.5 Females
위의 통계에 따르면, 미국의 폐 섬유증 유병률은 2000년의 18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29,000명 이상에서 약132,000명까지 여러 연령대에 거쳐 나타난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오진으로 인하여 실제 환자는 훨씬 더 높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단시 환자는 40, 50대이며, 특발성 폐섬유증의 발병률은 
50대 이후 급격히 증가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폐 기능의 상실은 
일반적으로 노화, 심장 질환 또는 다른 흔한 폐 질환으로 인한 것이다.

전망
이러한 폐 섬유증의 연구는 생검을 통해 얻은 조직을 통해 실시하거나 세포 주를 사용하게 된다.

몇몇 연구에서 줄기세포, 특히 중간엽 줄기 세포를 환자의 정맥 내로 투여하여 
폐섬유증 치료에 사용한 최근 임상 시험이 이루어졌고 폐 기능이 증가함을 관찰한 바 있다.
[10] 이러한 중간엽 줄기 세포를 통한 효과는 손상된 세포를 이들 세포가 대체하기 
때문이라고 여겨졌으나, 최근 연구에서 일련의 사이토카인이나 세포 외 소포로 
구성된 세크레톰의 직접적인 세포 간 상호작용 또는 분비를 통해 조직 복구를 
촉진 및 면역조절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했다.[21] 또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 
간세포 성장인자(HGF), 표피 성장인자(EGF)등의 성장 인자를 분비하여 재상피화 및 혈관신생을 촉진한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손상된 세포로의 커넥신 매개 
세포간 채널 또는 세포외 소포를 통한 직접적인 미토콘드리아 전달을 통해 
수용 세포의 ATP 저장을 회복하고 세포 기능을 복구할 수 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22]

최근 오가노이드(organoid)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어지고 있고, 
이는 폐 섬유증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 모델을 만드는 데 있어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최종적으로는 환자의 세포로부터 유도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인공 폐를 생성하고 이식할 수 있는 기술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폐 섬유증에 대해 Fibroblast activation protein 등의 
세포 막 발현 단백질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으며 또한 대식세포
(Macrophage)의 유형에 따른 섬유증 유발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23]

 

출처:


폐섬유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꼭 입술을 다무세요

이유는?

코로 숨길을 열어주면 만병이 낫는 이유를 알게 됩니다. 
비염·축농증을 넘어 안구건조증 등의 눈질환이 낫고, 
이명증·중이염 등의 귀질환까지 치료되면서 비로소 알게 됐던 사실!

이비인후과 최 박사는
“코는 단순히 공기의 통로 역할만 하는 게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한다.
수 많은 눈 증상과 연결돼 있었고, 수 많은 귀 증상과도 연결돼 있었다. 
그 비밀의 키는 바로 눈과 코 주변에는 부비동(副鼻洞)이라는 
8개의 빈 공간이 있다는 데 있었다.

최 박사는
“코로 들이마신 공기는 곧바로 기도를 통해 폐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8개의 부비동을 모두 지나면서 머리와 눈의 열을 식혀주고 
폐로 들어간다.”며 “그래서 코호흡은 두뇌 과열방지 장치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머리의 ‘라지에타’(방열기) 구실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숨을 쉴 때마다 이마에 있는 빈 공간으로도 공기가 지나 가야 하고, 
광대뼈 속 빈 공간으로 도 공기가 지나가야 하며, 눈 뒤쪽에 있는 빈 공간으로도 
공기가 지나가야 한다. 
눈과 코 주변에 있는 8개의 부비동 전체로 공기가 술술 잘 통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뇌의 열도 식혀 주고,
눈의 열도 식혀 주고,
귀의 열도 식혀줘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제 임상에서도 코호흡이 제대로 되지 않아 두뇌 과열방지 장치가 
제 기능을 못하면 축농증, 코골이, 안구건조증, 중이염, 메니에르병, 
신경성 두통, 탈모, 호르몬 이상, 수면장애 등 온갖 증상이 
나타난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그래서일까?
최박사는 전 국민에게 말하고 싶어 한다. 
코로 숨이 잘 통해야 한다는 것이다. 코로 숨이 잘 통하면
눈도 숨 쉬고,
귀도 숨 쉬고,
뇌도 숨 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코로 숨이 잘 통하면 크고 작은 병도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코로 숨이 잘 통하게 하면 생긴 병도 낫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머리가 맑아지고 눈도 밝아지고 귀도 밝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최 박사는
“비염, 축농증은 단순한 코질환이 아니라 전신의 병에 영향을 미친다.”며 “
숨길을 열어주는 침법에 온갖 정성을 쏟아 붓고 있는 것도 이 때문” 이라고 말한다.
이유를 알았다면, 이제 낮이나 밤이나 꼭 입술을 다물고 사세요.

🍎 뇌(腦) 노화?老化) 늦추는 방법..
80세 넘어서도 말이 젊은이 못지않게 빠르고, 대화(對話)에 
쓰는 단어가 풍부한 사람들을 본다.

중 고등학교 졸업 학력이지만, 은퇴(隱退) 후에 새로운 직업이나 
배움에 뛰어드는 ’70세 청년'도 있고, 영어 수상 소감으로 
전 세계를 휘어잡은 시니어 윤여정도 나온다.

반면
박사(博士) 공부까지 한 사람이 70대 중반에 치매(癡呆)로 
고생하는 경우도 꽤 있다.

나이 들면서 어쩔 수 없이 생물학적(生物學的)으로 퇴화하는 뇌를 
"닦고 조이고 기름"치면, 노화(老化)를 늦춰가며 총명하게 지낼 수 있다.

🎈뇌(腦)는 어떻게 늙어가나?

약 70세부터 사용하는 단어 수가 준다. 말하는 속도나 대화 구성 등 
언어(言語) 능력(能力)도 떨어지기 시작한다.
상황을 판단하고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能力)은 다만 특별한 
질병(疾病)이 없다면, 80세 정도에도 유지된다.

시간이 점점 길어져도, 기다리면 제대로 그런 일을 마친다. 
나이 들어 뇌 신경세포 수는 감소(減少)하나, 
그 안에서 새로운 신경망을 만들어서 뇌 기능을 보상토록 한다.
기억력(記憶力)은 최신 것부터 떨어진다.

새로 만난 사람의 이름이나 어제 먹었던 메뉴가 잘 생각이 나지 않는다. 
이른바 휘발성 기억력이 낮아진다.

70세가 넘어가면 뇌 혈류량이 젊었을 때보다 20% 정도로 감소한다. 
뇌혈관(腦血管)동맥(動脈) 경화로 혈관(血管)이 좁아지는 탓이다.

담배를 피우거나, 고혈압(高血壓) · 고지혈증 · 고혈당 등이 있으면 
뇌 혈류(血流) 감소가촉진(觸診)된다.

이 때문에 초고령에서는 혈관성 치매(癡呆)가 원인(原因)을
 알 수 없는 알츠하이머 치매만큼 발생한다.
하루 두 잔 이 상의 음주(飮酒)는 뇌 기능 감소(減少)를 증가(增加)시킨다.

🎈 끊임없이 머리를 굴려야 뇌가 싱싱!
눈·귀·코·입이 즐거우면, 뇌에도 좋다.

보기에 좋은 것을 많이 보고, 즐거운 것을 많이 듣고, 
맛있는 음식(飮食)을 자주 먹고, 내가 즐겁고, 내가 행복하다 느끼면
뇌(腦)에 좋다는 의미(意味)다.

시력(視力)을 잃으면 사물을 잃고, 청력(聽力)을 잃으면 
사람을 잃는다는 말이 있듯이, 뇌는 시력과 청력의 자극으로 움직인다.

청력이 떨어지면 보청기(補聽器)로 만회하고, 시야가 뿌예지면
백내장(白內障) 수술 등으로 청력과 시력과 시야를 회복(回復)시켜야 한다. 
모두 뇌(腦)를 위해서다.

맛을 음미(吟味)하며 씹어 먹는 食事가 뇌를 크게 자극한다. 
\이를 위해 위아래 맞물리는 저작운동과 치아(齒牙)를 최대한 많이 보존해야 한다.
치아(齒牙)를 잃었으면 임플란트로 채워, 씹는 능력(能力)을 유지해야 한다.

호기심은 뇌를 끝까지 작동시키는 온(on) 스위치다. 매일 다니던 길거리를 
산책(散策)하더라도 평소와 다르게 새로 바뀐 게 있는지 유심히 관찰(觀察)하며
 다니는 게 좋다. 평상시 다니던 길 아닌 다른 길로도 다니는 것이 좋은 것이다.

새로 생긴 가게가 있으면 들러보고, 어디서 어떤 물건(物件)이나 
식품(食品)이 싸고 좋은 것을 파는지 알아보러 다니면, 뇌 기능이 활성화된다.

다양한 책 읽기와 쓰기, 그림 보기, 그리기 음악 감상, 
습득 등 예술적 경험은 새로운 신경망을 만들어 생각을 
풍부하게 하고, 사고(思考)를 유연하게 만든다.

외국어(外國語) 같은 처음 접하는 학습(學習)은 깨어 있는 
뇌세포를 늘리는 데 가장 좋다.

매일 하던 것을 아무 생각없이 반복하는 생활은 
뇌세포를 오프(off)로 만들어 노화(老化)를 촉진한다.

카드놀이, 낱말 맞추기, 산수 풀이 등 일부러 
시간 내어 머리 쓰기를 꾸준히 하는 게 좋다.

여러 사람과 지속해서 교류(交流)하는 것도 뇌를 깨운다.

대화(對話)에 참여하려면 뉴스도 자세히 보게 되고, 
바깥출입 하려면 옷 매무새도 챙기게 된다.

거동이 불편해지는 초고령에서는 멀리 있는 친구(親舊)나 
가족보다, 동네서 어울리는 사람들이 더 소중(所重)하다.

나이가 많이 들수록 학연·혈연·직장 등 연고 중심의 어울림보다, 
지역(地域) 중심 어울림을 늘려야 한다.

뇌는 저수지(貯水池)와 같다.
 평소에 저수지에 물이 충분(充分)히 차 있으면 가뭄이 와도 버틴다.

일상에서 머리를 끊임없이 굴리고 오감(五感)을 즐겁게 하며 살면, 
뇌(腦)가 싱싱해진다!~

- 출처: 김광준 연세대 세브란스 병원 노년내과 교수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