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 숨길을 열어주면 만병이 낫는 이유를 알게 됩니다. 비염·축농증을 넘어 안구건조증 등의 눈질환이 낫고, 이명증·중이염 등의 귀질환까지 치료되면서 비로소 알게 됐던 사실!
이비인후과 최 박사는 “코는 단순히 공기의 통로 역할만 하는 게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한다. 수 많은 눈 증상과 연결돼 있었고, 수 많은 귀 증상과도 연결돼 있었다. 그 비밀의 키는 바로 눈과 코 주변에는 부비동(副鼻洞)이라는 8개의 빈 공간이 있다는 데 있었다.
최 박사는 “코로 들이마신 공기는 곧바로 기도를 통해 폐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8개의 부비동을 모두 지나면서 머리와 눈의 열을 식혀주고 폐로 들어간다.”며 “그래서 코호흡은 두뇌 과열방지 장치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머리의 ‘라지에타’(방열기) 구실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숨을 쉴 때마다 이마에 있는 빈 공간으로도 공기가 지나 가야 하고, 광대뼈 속 빈 공간으로 도 공기가 지나가야 하며, 눈 뒤쪽에 있는 빈 공간으로도 공기가 지나가야 한다. 눈과 코 주변에 있는 8개의 부비동 전체로 공기가 술술 잘 통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뇌의 열도 식혀 주고, 눈의 열도 식혀 주고, 귀의 열도 식혀줘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제 임상에서도 코호흡이 제대로 되지 않아 두뇌 과열방지 장치가 제 기능을 못하면 축농증, 코골이, 안구건조증, 중이염, 메니에르병, 신경성 두통, 탈모, 호르몬 이상, 수면장애 등 온갖 증상이 나타난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그래서일까? 최박사는 전 국민에게 말하고 싶어 한다. 코로 숨이 잘 통해야 한다는 것이다. 코로 숨이 잘 통하면 눈도 숨 쉬고, 귀도 숨 쉬고, 뇌도 숨 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코로 숨이 잘 통하면 크고 작은 병도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코로 숨이 잘 통하게 하면 생긴 병도 낫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머리가 맑아지고 눈도 밝아지고 귀도 밝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최 박사는 “비염, 축농증은 단순한 코질환이 아니라 전신의 병에 영향을 미친다.”며 “ 숨길을 열어주는 침법에 온갖 정성을 쏟아 붓고 있는 것도 이 때문” 이라고 말한다. 이유를 알았다면, 이제 낮이나 밤이나 꼭 입술을 다물고 사세요.
🍎 뇌(腦) 노화?老化) 늦추는 방법.. 80세 넘어서도 말이 젊은이 못지않게 빠르고, 대화(對話)에 쓰는 단어가 풍부한 사람들을 본다.
중 고등학교 졸업 학력이지만, 은퇴(隱退) 후에 새로운 직업이나 배움에 뛰어드는 ’70세 청년'도 있고, 영어 수상 소감으로 전 세계를 휘어잡은 시니어 윤여정도 나온다.
반면 박사(博士) 공부까지 한 사람이 70대 중반에 치매(癡呆)로 고생하는 경우도 꽤 있다.
나이 들면서 어쩔 수 없이 생물학적(生物學的)으로 퇴화하는 뇌를 "닦고 조이고 기름"치면, 노화(老化)를 늦춰가며 총명하게 지낼 수 있다.
🎈뇌(腦)는 어떻게 늙어가나?
약 70세부터 사용하는 단어 수가 준다. 말하는 속도나 대화 구성 등 언어(言語) 능력(能力)도 떨어지기 시작한다. 상황을 판단하고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能力)은 다만 특별한 질병(疾病)이 없다면, 80세 정도에도 유지된다.
시간이 점점 길어져도, 기다리면 제대로 그런 일을 마친다. 나이 들어 뇌 신경세포 수는 감소(減少)하나, 그 안에서 새로운 신경망을 만들어서 뇌 기능을 보상토록 한다. 기억력(記憶力)은 최신 것부터 떨어진다.
새로 만난 사람의 이름이나 어제 먹었던 메뉴가 잘 생각이 나지 않는다. 이른바 휘발성 기억력이 낮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