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산(道峰山) : 북한산(北漢山)과 함께 북한산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있으며,
북한산의 우이령(牛耳嶺)을 경계로 그 북동쪽을 도봉산(道峰山)이라 부르며 그 줄기에
자운봉(739.5m), 만장봉(718m), 선인봉(708m) 등
세 개의 봉우리와 우측에 다섯 개의 암 봉우리로 이루어진
오봉(625m)은 도봉산의 주요 봉우리로,
최고봉인 자운봉과 그 왼편의 만장봉과 선인봉은 도봉산 줄기의 주요 봉우리로서
자운봉과 만장봉은 포대능선과 도봉능선을 서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북으로는 사패산, 남으로는 우이암에 이르는 주 능선은 산세가 험준하며,
웅대한 천태만상의 기묘한 바위들로 이루어져 그 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조선(朝鮮) 태조(太祖)가 한양에 도읍을 정할 때
이 산의 영기를 받았다는 설이 있다고 한다.
도봉산심원사~다락능선~포대능선-망월사-원도봉' 산행안내도
서울대학 병원 어린이 병동앞에 붙어있는 아름다운 포스터입니다.
세상의 모든 어린이들 모두 아픔에서 털고 일어나기를
간절히 염원하는 마음을 담아봅니다^^
다락능선 오르는 길목. 평일이라서 고요하기만 합니다.
아침 햇살속의 산사의 아침.
하산길에 내려올 원도봉 계곡.
다락능선 쪽으로 오릅니다. 진입로부터 매우 가파른 길.
언젠가 다락원=>의혜공주 묘소 있는 쪽으로 올랐던 기억이 납니다.
너무 오래된일이라 희미한 기억만 있네요.
심원사앞 ~스님한분이 가을을 거두고 있는 모습
본격 다락 능선 코스 진입.
계속해서 암릉길이 이어지고. 로프를 타고 넘는 암릉구간이 이어집니다.
통천문 통과. 바위사이로 보이는 밝은 햇살.
한 30 여분 올라 하늘로 통한다는 통천문을 통과합니다.
다시 철책 난간을 따라 오르고 나니 조망이 확트입니다.
다락능선으로 오르는 암릉에서 조망되는 수락산과 불암산.
수락산 터널과 도봉산역.그리고 정면으로 불암산이 조망되는 곳.
다시 철책 난간 암릉길이 이어집니다.
오르막 길 암릉에 서있는 다리미 바위와 우측 가오리의 형상입니다.
다락능선 오르는길에 가오리 바위를 만났습니다. 친구사진 첩에서
올려다본 포대능선.
좌측 도봉산의 만장봉(718m), 자운봉(740m), 신선대(725m).로부터 우측으로 이어지는[
포대능선우측편 상층부에 망월사가 보입니다.
우측 가오리바위와 좌측 다리미 바위. 그럴싸 하네요.
전망 바위에서 내려다본 도봉동일대
다리미 바위와 가오리 바위위에서 사진찍는 등산인을 배경으로.
너무 가물어 단풍은이미 모두 말라 버렸습니다.
잠시 안부에서 숨을 고르고...
멋진 암릉의 모습.다락 능선은 아기자기 하기도하고 때론 로프를 잡고 올라야할 구간이
자주 나타납니다. 그렇지만 운악산 처럼 사나운 모습은 아닙니다.
암릉구간구간에 자리한 단풍이 더욱 아름답다..
저아래가 보이는 원도봉 계곡과. 정면에 두꺼비 바위가 보인다
망월사와 위로 이어지는 포대 능선-- 망월사위로 갓바위도 보인다.
건너다 보이는 수락산
수락산과 좌측 불암산 일대.
망월사=>원도봉계곡=> 쌍룡사쪽으로 하산길.
앞에서있는 코바위 또는 두꺼비 바위라고도 합니다.
뒤로 돌아본 사패산 갈림길의 포대 초소쪽
수락산과 아래 도봉동일대 조망
두꺼비바위
뒤돌아본 조망. 만장봉(718m), 자운봉(740m), 신선대(725m).
포대능선 끝자락 사랑바위쪽 암벽.
망월사 뒷편의 단풍.
망월사 뜨락엔 이미 가을이 떠나가고.
화려한 망월사 대웅전 단청.
떠나보내는 섭섭한 마음에 마지막 남은 단풍의 모습을 담다.
수령 몇백년은 족히 살았을법한 소나무가 그 수명을 다하고 향기 짙은 의자로 변신.
아쉽습니다.ㅠㅠ .. 수많은 세월동안 세상사를 모두 지켜온 소나무가 이렇게
마지막을 장식하네요.
늦가을의 망월사 숲.
민초샘=> 쌍룡사 쪽으로.
마지막 남은 원도봉 게곡 단풍의 모습들.
원도봉 게곡 덕제샘을 지나=> 폭포앞 수량이 많지 않다.
이 가을의 흔적들.
바위에 남겨진 가을의 모습.
쌍용사의 거대한 불상
다락 능선 진입로 입구
청계천의 저녁 노을.
'°♡。산행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1.10평강산악회와함께 함백산 산행 | °♡。산행 기록 (0) | 2022.09.23 |
---|---|
2015.12.6. 팔당역-하팔당-철문봉-적갑산-새재고개-운길산역 산행 (0) | 2022.09.23 |
♧2015.10.20. 북한산-백운대-도선사 횡단 코스 산행 (0) | 2022.09.23 |
2015.10.17 강남 N 산악회 따라 남교리~ 12선녀탕 계곡 (0) | 2022.09.23 |
설악산 서북능선(한계령~대청봉~오색) 종주산행 (0) | 2022.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