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2.17(월요일) 눈내림. 16일(일) 마천-> 북문->동장대입구에서 폭설로 하산 17일(월) 산성주차장->전승문->봉암문->벌봉->가지울 입구 (폭설로 벌봉 회귀) 5년여만의 폭설내린 남한산성 위례 둘레길 제4코스 ◆옛 산성의 정취만 느끼기엔 너무나 아프고 교훈적인 역사를 지닌곳
◆ 코스 : 약 10km 온세상이 하얗게 뒤덮여 버린 남한산 522m. 전승문-봉암성-암문-벌봉-가지울 계곡을거쳐 창곡등으로 내려가는 코스를 밟았지만 벌봉->객산쪽->가지울 계곡
산성리 주차장앞에서 ..청량산을 배경으로
전승문(북문에서) 벌봉가는길에
옥정에서->동장대 아래 봉암문 가는길
동장대 아래 봉암문에서
봉암성을 나오면 바로 벌봉2암문이 나온다
제4코스 성곽길을따라서 전승문쪽으로 가는길.
성곽길을 따라서 소복히 쌓인 눈길
성곽길에서 바라본 배알미
가는 겨울..또다시 이런 아름다운 모습이 펼쳐질지..
옥정에서->봉암문 가는 나무계단 수북히 눈에 뒤덮여
계단이 파묻혀 있다.
스틱을 조립하면서
봉암문을 나서니 이곳은 먼저간 인적도 거의 없다.
벌봉.한봉가는 허물어진 성곽길.
모진 강풍.비바람을 맞으며 오랜 세월동안 그자리를 꿋꿋하게 지켜온 소나무를 조망으로
뒤를 돌아보니 눈이 부시도록 아름다움에
이곳에서 우측한봉->또는 좌측 고골...객산쪽으로 진행하거나,
우측 한봉 입구 삼거리에서-> 은고개쪽으로진행할수 있다. (약1시간 30분 거리)
하이얀 눈속에 남긴 足跡 뒤를 따라 밟는다 ..
길잡이 이정표가 너무도 반갑다
소폭히 쌓인 눈길을 걷는다.언제나 눈이오면 내가 찾는이길 너무나도 오고싶은 벌봉가는 호젓한 이길을.... 이 외로운 발자국을 따라서 나는 걷고 또 걷는다.
벌봉->객산 가는길. 어제.오늘 폭설내린 남한산성을 오르며..
벌봉입구 이정표가 눈에 파붙혀 있다.
한겨울 같은 벌봉길. 또다시 이런하얀 눈길을 걸어 볼수 없을것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위로 올려다 보이는 벌봉..남한산 최고봉인 벌봉(522m)은 암문이 바위를 보면 벌처럼 생겼다하여 벌봉이라 한다
벌봉표지석앞에서 위로보이는 벌봉에서->제13암문을 지나->가지울쪽으로 진행하며 그 다음은 봉암성이 있는 남한산(해발 522m)이다. 남한산과 함께 봉암성의 또다른 봉우리인 벌봉(봉암)은 해발 515m, 그 다음이 해발 약 500m 동장대 터이다. 위로보이는 벌봉에서->제13암문을 지나->가지울쪽으로 진행하며
벌봉에서 객산쪽으로 약 500미터쯤 진행하면 통과하는 제 13암문
언제나 눈이오면 내가 찾아오는 하이얀 눈길 너무나도 오고싶은 벌봉가는 호젓한 이길을.... 이 외로운 발자국을 나는 걷고 또 걷는다. 아무생각도 없이 하이얀 눈길위에 足跡을 남기고.. 내가 그렇게도 좋아하는 하이얀 눈길을 생의 마지막순간 까지도 나는 하이얀 눈길위를 그렇게 걸어가고 있다.
가지울쪽은 이미 눈속에 파묻혀 어디가 어딘자 분간이 안간다.
발목까지 빠지는 눈길속에 멧돼지의 발자욱이 더욱선명하다.
가지울을따라 30여분 내려가는 하산길 .. 이곳저곳에서 견공들이 마구 짖어댄다.인적이 드문곳이라서 이곳저곳에 멧돼지 밝자욱과 노루.고라니. 너구리 발자욱이 선명하게 드러나 보인다. 금방이라도 멧돼지가 튀여나올것 같다.
우리는 알고 있는 ...묘비 " 이 0 0" 이 잠들어 있다. 한시대를 풍미했던 그무덤 엔 소복히 눈이 뒤덮여 있다 묘비없는 묘소엔 소복히 눈옷을 입고 있다. 아마도 한시대를 풍미했던 분이라는 생각... 잠들어있는 고인 ..언젠가 우리모습도 그러할진대.. 부디 영면하시길 !
도봉산은 서울 근교의 산으로 북한산과 함께 북한산 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있으며 교통이 편리하고 산세가 아름답다. 주능선상에는 최고봉인 자운봉을 비롯 만장봉, 선인봉, 주봉 등의 암봉과 서쪽으로 다섯 개의 암봉이 나란히 줄지어 있는 오봉이 있다. 선인봉, 만장봉, 주봉, 우이암은 각기 거대한 암벽들이다. 도봉산은 우람한 기암괴석과 뾰족히 솟은 암봉들이 장관을 이루며, 사방으로 뻗은 계곡을 따라 녹음이 우거져 명소를 만들고 있다.
우리가 걸어간길 안내 도봉산역 입구->도봉통제소 -> 능원사->도봉사->도봉옛길-도봉대피소 -> 자운봉-> 민초샘기점->민초샘->망월사->->덕재샘-원도봉계곡_ 두꺼비바위-망월통제소->원도봉 통제소
오전 10시 30분, 산행을 시작했다. 깨끗하고 맑은 겨울 하늘에서
눈부시고 밝은 햇살이 쏟아지고 있다.
능원사쪽.
산사뒤로 보이는 선인봉 자운봉.신선봉이 세봉우리
겨울산사 웅장한 능원사 앞에서..
능원사 일주문이 아주 화려합니다.
넉넉한 자연의 품속으로.
신성
우이암 300 미터 지점 이곳에서 자운봉쪽으로
최고봉인 자운봉을 비롯 만장봉, 선인봉, 주봉 등의 암봉과 서쪽으로 다섯 개의 암봉이
나란히 줄지어 있는 모습.
좌측 위쪽으로 보이는 다섯개의 봉우리 오봉
건너편쪽으로는 보이는 수락산.불암산 능선
언제보아도 위풍 당당한 봉우리들 입니다.
저멀리 북한산 최고봉 인수대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끝만 살짝 보이는 오봉 능선 5개의 암봉이 나란히 줄지어 서 있는 오봉(五峰)
우측엔 자운봉..좌측으로 오봉 능선
동쪽으로 서울시 도봉구 전 지역과 의정부 일대가 한눈에 들어오고, 서쪽으로는 사패산 송추 일대가들어온다.
도봉산의 제일 조망대에서 바라본 봉우리들.
도봉산의 제일 조망대에서봉우리를 배경으로 인증샷~!!
오봉 갈림길에서 자운봉쪽으로.
도봉의 최고 봉인 자운봉 700 미터 아래.
도봉의 최고봉 자운봉(739.5m) 뒤에는 선인봉-만장봉-차례로 서있습니다.
뒤로 보이는 도봉산 최고봉 신선대의 모습
뒤에서 올려다본 신선대의 모습.
전방..우람한 암봉 신선대의 모습.신선대(725m)는 바로 건너편 우람한 자운봉(739.5m)을
마주보고 있다. 자운봉은 리치등반을 하는 곳이므로 일반인들은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뒤로 돌아본 도봉 최고봉 신선대의 모습
선대의 북쪽으로는 도봉산의 포대능선의 끝, 사패산까지 시야에 들어온다
태산에 올라보니 천하가 작게 보인다는 말이 실감나는 조망.
포대능선을 타고 사패산으로 향하는 분깃점.
멋진바위아래 도봉구 망월사역 일대
신선대쪽..
건너편 수락산-불암산은 손에 잡힐 듯 건너다 보입니다^^
건너다 보이는 수락산 봉우리와 능선
포대능선 오르는 암릉
언제 만나도 변함없는 실력입니다.^^
신선대.자운봉을 뒤로하고.민초샘기점-민초샘-망월사-쪽으로 갑니다.
포대능선 안부에서.민초샘기점-민초샘-망월사 쪽으로.
사패산. 포대능선 안부 이정표.
오른쪽(북쪽)으로 가면 사패산으로 가고 왼쪽으로 남행하면 도봉산 최고상봉인 자운봉으로 가게 된다
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산행일자 : 2014. 12. 14(일) 난 이 도 : 중 산행시간 : 4시간 15분 (점심식사, 휴식시간 포함)
산의 높이는 없으나
북한강,남한강 조망이 아름답고 우아한 능선길로서. 가장 좋은 코스로는 ... 예빈산~직녀봉~견우봉~예봉산찍고~적갑산~운길산 코스로서 약 6시간~6시간 30분 소요됨.. 어느산에도 뒤지지 않는 아름다운 능선길임. 또한 운길산 수종사에서 바라보는 팔당호의 모습은 일찍이 서거정이 동방의 사찰 중 전망이 제일이라고 격찬했을 정도이다.
예봉산
높이는 683.2m로, 능선길로 1.5km 정도 떨어져 적갑산과 마주보고 이어져 있다. 인근 주민들은 사랑산이라고 불러왔고, 옛 문헌에는 예빈산(禮賓山), 예봉산(禮蜂山)으로 기록되어 있던 것이 조선총독부 《조선지지자료》에 예봉산(禮峯山)으로 나와 있는 것으로 미루어 일제강점기에 오늘의 이름이 된 것으로 추측된다. 수림이 울창하여 조선시대 때는 인근과 서울에 땔감을 대주던 연료공급지였다.
운길산
높이 610.2m이다.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양수리) 북서쪽 지점에 솟아 있다. 1890년(고종 27)에 지은 《수종사중수기》에는 운길로 나오고, 그보다 오래된 《동국여지승람》에는 조곡산이라고 적혀 있다.
산수가 수려하고 교통이 편리하여 가족산행이나 가벼운 주말산행지로 널리 알려졌다. 주변에 정다산마을·팔당호·서울종합영화촬영소·금남유원지 등의 관광지가 있고 산중턱에 수종사(水鐘寺)가 있어 볼거리도 많은 편이다.
특히 수종사에서 바라보는 팔당호의 모습은 일찍이 서거정이 동방의 사찰 중 전망이 제일이라고 격찬했을 정도이다. 서쪽의 적갑산(561m)과 예봉산(683m)을 함께 종주할 때 기준점이 되는 산이기도 하다.
철문봉 [ 喆文峰 ]
해발 630m로 적갑산(561m)과 예봉산(禮峯山,·683.2m) 중간을 이어주는 봉우리이다. 다산 정약용, 정약전, 정약종 형제의 숨결이 스민 곳으로 바로 그 아래 조안면 능내리에는 정약용의 생가 여유당과 그의 묘소가 있다. 다산 형제들은 집 뒤 능선을 따라 이 봉우리까지 올라와 학문[文]의 도를 밝혔다[喆]고 하여 이 봉우리에 ‘ 철문봉(喆文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철문봉이라는 이름의 유래를 아는 산꾼들은 적갑산~예봉산 코스를 ‘ 다산능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봉우리로 오르는 곳곳에 수리취, 고려엉겅퀴, 큰꿩의비름 등 다양한 야생화와 넓은 억새밭을 만날 수 있고 정상에 서면 수락산과 도봉산, 한강과 미사리조정경기장을 조망할 수 있다. 이곳에서 팔당대교로 곧바로 내려가는 길이 있다.
적갑산 [ ─山 ]
높이 561m이다. 높이 684m의 예봉산과 마주보며 1.5km의 능선길로 이어져 있다. 주변에 이렇다 할 명소는 없지만 산세가 아기자기해 인근 예봉산이나 운길산(610.2m)과 연계한 등반코스에 빠지지 않는 산이다. 하산은 서쪽 능선길을 따라 문룡마을로 내려가는 길과 북쪽 능선길을 따라 불개미집으로 가는 길이 있다.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희미하게 난 길로 가면 등산로가 끊기므로 주의해야 한다.
수종사 [ 水鐘寺 ]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1458년(세조 4) 세조가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금강산(金剛山) 구경을 다녀오다가, 이수두(二水頭:兩水里)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어 깊은 잠이 들었다. 한밤중에 난데없는 종소리가 들려 잠을 깬 왕이 부근을 조사하게 하자, 뜻밖에도 바위굴이 있고, 그 굴속에는 18나한(羅漢)이 있었는데, 굴속에서 물방울 떨어지는 소리가 마치 종소리처럼 울려나왔으므로, 이곳에 절을 짓고 수종사라고 하였다는 유래가 전해진다.
그후 조선 후기에 고종이 중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중요문화재로 보물 제259호인 수종사부도내유물(浮屠內遺物)이 있는데, 석조부도탑(石造浮屠塔)에서 발견된 청자유개호(靑瓷有蓋壺)와, 그 안에 있던 금동제9층탑(金銅製九層塔) 및 은제도금6각감(銀製鍍金六角龕) 등 3개의 일괄유물이 그것이다
갑자기쌀쌀해진 날씨 지금 기온 영하 9도..그렇지만 바람이 잦아들어 별로 춥지는 않습니다.ㅋ
2011년 영하 18도에 예봉산 오르던 일이 엊그제 같은데 ...
예봉산 오르기 위해서 거쳐야 하는 팔당역
오늘은 길동무님이 있어 산행이 좀더 수월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ㅋ
예봉산은 다산 정약용 선생의 고장..다산 형제들은 집 뒤 능선을 따라 철문봉까지 올라와 학문[文]의 도를 밝혔다[喆]고 하여 이 봉우리를 철문봉 이라 한다네요..
오늘 꽤 많은 등산인들이 예봉산을 오르고 있네요. 이제 예봉산은 한강과 팔당호를 조망할수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