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자령>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과 평창군 도암면의 경계를 이루는
선자령은 백두대간의 주능선에 우뚝 솟아 있다.
선자령은 해발 840m인 대관령의 북쪽에 솟아 있는 산으로,
선자(仙子)란 곧 신선, 혹은 용모가 아름다운 여자를 말한다.
선자령의 능선의 굴곡이 여성미처럼 아름다워서
그런 이름이 붙여진 것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선자령은 대관령- 선자령- 곤신봉으로 백두대간이 지나는
일부 구간이기도 하다.
4년전 폭설때 능경 고루포기.수하산을 찾은 이후,
약 5년여만에 다시 찾은 선자령은 적설량이 적어 아쉬웠지만
지난1월함백산->두문동재 코스이후 잠실산악회와 함께한 두번째 산행이다.
▶트래킹코스
대관령고속도로 준공탑-Kt송신소860봉-항공무선표지소-동해전망대-
선자령- 한일목장길-샘터-잣나무 군락지-양떼목장옆 담장길-
신재생에너지 전시관 (약 12.5km)
문막 휴계소에서
오전 10:40분경 고속도로 준공탑 앞 도착.
잠실산악회와함께.
국사 성황당 =>KT통신탐=>전망대=>선자령가는길.
KT 송신 탑쪽으로 . 약20분 정도 올라가면 KT송신소=>새봉 전망대.
선자령 4.7 키로 지점.
이길은 예로부터 신사임당을 비롯.강릉으로 이어지는 길로서.
바우길로 이름붙여진 트래킹 코스이다.
KT 송신탑.새봉 해발고도 (1060m)
새봉 해발고도 (1060m) (선자령) 전망대에 도착.
새봉(1060m)에서 본 KT 송신소와 항공무선 표시소 그리고..
대관령넘어 능경봉 고루포기산의 백두대간능선 도 쭉 이어진다.
새봉 전망대에서 바라본 강릉시와 푸른빛 동해바다.
새봉(1060m)에서 본항공무선 표시소, 대관령넘어 능경봉 고루포기산의 백두대간능선
건너다 보이는 대관령넘어 능경봉 고루포기산의 백두대간능선
새봉 전망대에서.
선자령가는 길에 새봉 전망대 . 멀리 강릉시 와 동해 바다가 한눈에 잘 조망되는 곳.
새봉에서 본 우측능경봉-제왕산(840m)-강릉 대관령 박물관능선
전방에 보이는 쪽 선자령 정상부 능선을 향해..
능선을따라 이어지는 풍력 발전단지.
파란하늘과 선자령 능선길이 멋지게 어울린다.
선자령 정상부로 이어지는 길.
하얀 눈길위에서
새봉(1060m)에서 보는 선자령(1157.1m)가는 능선의 풍력 발전기
선자령에서 바라본 우측부분 백두대간 곤신봉(1136m)
선자령에서 본 백두대간 곤신봉(1136m)
새봉(1060m)능선에서바라본 능경봉(1123.2m)고루포기산(1238m)의 능선
새봉(1060m) 능선
멀리보이는 매봉 풍력단지. 그너머로 함백산 정상이 보인다.
선자령 능선과 이어진 풍력 단지.
선자령오르는 등산객과 저멀리 백두대간 곤신봉(1136m)
멀리 고루포기-능경봉 능선.
선자령 정상에 모인 사람들
매봉 풍력 단지와 그너머 함백산 정상.
선자령과 곤신봉 구간의 풍력 발전기.
.선자령 정상에서 바라본 백두대간 곤신봉 구간의 풍력 발전기
.선자령에서본백두대간길~ 곤신봉능선(1136m)-소황병산(1328m)-
오대산 노인봉(1338.1m)능선
능선을 따리 이어진 멋진 풍경.
구불구불 이어진 눈길. 적설량이 많지 않아 아쉽다..
1월 하순경 다녀온 함백산에 비해 눈은 적지만...그런대로
기상예보인 무척 춥다고 엄포를 놓았는데 막상와보니 바람도 잔잔한 편이고.
기온은 영하 3.4 도 정도로 산행하기 알맞은 날씨..
선자령 정상쪽. 한일 목장길.
선자령 능선 너머로 보이는 고루포기-능경봉 능선
설원의 앵글.
멀리보이는 백두대간 선자령쪽 곤신봉.
선자령과 곤신봉 구간의 풍력 발전기
선자령가면서 본 새봉(1060m)과 -능경봉(1123.2m)-고루포기산(1238m)의 능선
선자령 정상으로 이어진 한일 목장길.
정상표지석이 보이고 인증 샷을하기위해 모여있는 사람들.
건너다보이는 매봉 풍력 발전단지.그리고 정면 함백산.
좌측 덕향산 풍력단지. 우측 매봉 풍력단지.
선자령 정상에서 초막골쪽 가는길.
하산길에 바라본 잣나무 군락.
대관령 국사 성황당쪽으로 하산하며.
아직 깊은 겨울 잠에 빠져있는 계곡.
겨울 숲속의 영혼이 담겨있는 자작 나무숲.
대관령 휴계소. 국사 성황사쪽으로.
250미터 오르면 바로 대관령 양떼목장이 위치하고 있다.이곳을 들어가려면
입장료를 내야한다. 꽤 비싼편....ㅋ
대관령 목장오르는 길.
식사를 위해 456번 국도를따라. 횡계로 이동. 황계에서 식사를 마치고=>횡계 IC를 통과
영동 고속도로로 용평 IC쪽으로 진입. 건너다 보이는 고루포기 산 능선..
횡계남쪽엔 우리가 2011 년 폭설때 다녀왔던 도암면 수하산과 수하리계곡이 위치해 있다.
황계리 시가지.모습
'°♡。산행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4.9 쌍계사 ~화개장터~ 남도대교 힐링 트래킹 (1) | 2022.09.23 |
---|---|
가섭봉(용문산 높이 1,157m)~상원사~ 용문사 산행 (0) | 2022.09.23 |
2016.1.16 백두대간 1.2 연화봉 등산(1 (0) | 2022.09.23 |
==2016.1.10평강산악회와함께 함백산 산행 | °♡。산행 기록 (0) | 2022.09.23 |
==2016.1.10평강산악회와함께 함백산 산행 | °♡。산행 기록 (0) | 2022.09.23 |